하야시 요시히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야시 요시히데는 일본 육군 군인으로, 육군 중장까지 진급했다. 와카야마현 출신으로 육군사관학교와 육군대학교를 졸업하고,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다. 1941년 소장으로 진급, 제14방면군 참모장, 필리핀 공략전 참전, 버마 주둔 일본군 사단장 등을 역임했다. 종전 후 전범으로 기소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았으나, 1953년 필리핀 대통령에 의해 사면되었다. 일본군 위안부 관련 논란에 연루된 적이 있으며, 형은 하야시 시게키요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사고문 - 이토 세이이치
이토 세이이치는 일본 제국의 해군 군인으로, 해군 대장까지 승진하여 연합함대 참모장, 군령부 차장 등을 역임하고, 제2함대 사령장관으로서 덴고 작전을 지휘하다 오키나와 해전에서 전사했다. - 군사고문 - 오이카와 고시로
오이카와 고시로는 일본 해군 군인으로, 해군대신과 군령부 총장을 역임하며 미국과의 관계 유지를 위해 노력했으나 태평양 전쟁을 막지 못했고, 해군 교육 개혁에 기여했으며, 문학적 재능과 해박한 지식으로도 알려졌다. - 일본 육군 중장 - 혼마 마사하루
혼마 마사하루는 일본 제국 육군 군인으로, 필리핀 공략전을 지휘했으나 바탄 죽음의 행진에 대한 책임으로 전범으로 처형되었고, 그의 재판은 지휘자 책임 적용 및 맥아더의 복수심 작용 등의 논란이 있다. - 일본 육군 중장 - 의민태자
의민태자는 고종과 순헌황귀비 엄씨 사이에서 태어난 대한제국 최후의 황태자로, 영친왕 책봉 후 황태자가 되었으나 일본 유학 및 군 복무, 일본 황족과의 정략결혼, 광복 후 국적 미인정으로 일본에서 생활하다 귀국 후 영원에 안장되었으며 사후 의민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중일 전쟁 관련자 - 무타구치 렌야
일본 제국 육군 장군 무타구치 렌야는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 노구교 사건과 임팔 작전 등 주요 사건에 관여했으며, 전후 전쟁 범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고, 그의 군사적 능력과 작전 실패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 중일 전쟁 관련자 - 아베 노부유키
아베 노부유키는 러일 전쟁에 참전한 일본 제국의 육군 대장이자 정치인으로, 제39대 내각총리대신으로서 중일 전쟁 종식과 일본의 중립 유지를 시도했으나 실패했으며, 이후 조선총독을 지내며 전쟁 말기 조선에서의 압제적 통치를 담당했다.
하야시 요시히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하야시 요시히데 |
출생일 | 1891년 8월 25일 |
사망일 | 1978년 2월 5일 |
출생지 | 와카야마현, 일본 |
![]() | |
군사 경력 | |
소속 | [[파일:War flag of the Imperial Japanese Army.svg|22x20px|border]] 일본 제국 육군 |
복무 기간 | 1914년 - 1945년 |
최종 계급 | 육군 중장 |
지휘 | IJA 제54사단 IJA 제53사단 |
참전 | 중일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
2. 생애
하야시 요시히데는 와카야마현 출신으로, 1914년 일본 육군사관학교(26기)와 1923년 육군대학교(35기)를 졸업했다.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으며, 1945년 육군 중장으로 진급했다. 종전 후 전범으로 체포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았으나, 1953년 석방되었다.
그의 생애는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 전범 재판과 석방 등으로 구분된다.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와카야마현 출신으로, 하야시 다쥬로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와카야마 중학교를 거쳐, 1914년 5월 육군사관학교(26기)를 졸업하고, 같은 해 12월 보병 소위로 임관하여 보병 제23연대에 배속되었다. 1923년 11월에는 육군대학교(35기)를 졸업했다.[4]이후 보병 제23연대 중대장, 참모본부 근무, 중국 주둔군 사령부, 참모본부원, 참모본부 (齐齐哈尔|치치하얼중국어 주재), 근위 보병 제3연대 대대장, 관동군 사령부 (치치하얼 주재) 겸 헤이룽장성 경비군 고문, 근위 보병 제3연대, 중국 주둔군 사령부 (조사반장), 중국 주둔군 참모, 대만군 참모, 쓰시마 요새 참모, 가오슝 요새 사령관 등을 역임했다.
중일 전쟁 발발 당시 관동군에 배속되어 중국 북부에서 차하르 작전 기획에 참여했고, 1938년부터 1940년까지 대만 주둔 부대에서 복무했다. 1940년에는 동남아시아 침공 준비 과정에서 열대 지역 전쟁 문제를 조사하는 대만 육군 연구 부서 지휘를 맡았다.[1] 1941년 소장으로 진급했으며, 같은 해부터 1942년까지 일본 육군 제14방면군의 부 참모장을 역임했다.
대만 보병 제1연대장 재임 시 중일 전쟁에 종군했고, 대만군 연구부원, 남방 출장, 대만군 사령부 등을 거쳤다. 1941년 10월, 육군 소장으로 진급했다.
2. 2.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
1941년 5월 일본 육군사관학교(26기)를 졸업하고, 같은 해 12월 보병 소위로 임관했다. 타이완 보병 제1연대장 시절에 중일 전쟁에 참가했다. 1941년 10월 육군 소장으로 진급했다. 태평양 전쟁에는 제14군 참모부장 겸 군정부장으로서 참가했다. 1945년 3월 육군 중장으로 진급했다.[4]중일 전쟁 발발 당시, 관동군에 배속되었고, 중국 북부에서 차하르 작전 기획팀에 참여했다. 1938년부터 1940년까지 대만 주둔 부대에서 복무했다. 1940년, 동남아시아 침공 준비 과정에서, 하야시는 열대 지역에서의 전쟁 문제를 조사하는 임무를 맡은 대만 육군 연구 부서의 지휘를 맡았다.[1]
1945년 2월, 제53사단장이 되었고, 같은 해 3월 육군 중장으로 진급하여 종전을 맞이했다.
2. 3. 전범 재판과 석방
1946년 8월 전범 혐의로 체포되어 1949년 11월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재판에서 종신형 판결을 받았지만, 1953년 7월에 석방되었다.[3]일본의 항복 이후, 하야시 요시히데는 전범 혐의로 조사를 받았고, 필리핀의 뉴빌리비드 교도소에 수감되었다. 그는 필리핀 전범 재판에서 전범 혐의를 인정했으며, 특히 호세 아바드 산토스 대법원장 살해에 관여한 혐의도 인정했다. 하야시는 종신형을 선고받았으나, 1953년 7월 4일, 113명의 다른 일본 전범들과 함께 엘피디오 키리노 대통령에 의해 사면되었다.[3]
3. 일본군 위안부 관련 논란
1940년 중국 남부에 파견돼있던 엔다(鹽田)병단 산하 하야시부대를 이끌던 시절에 일본군 위안부 관리자에게 발급한 증명서에 이름이 등장한다.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형 | 하야시 시게키요 (육군 중장) |
참조
[1]
웹사이트
United States History
http://www.fortuneci[...]
2007-01-19
[1]
웹사이트
Colonel Masanobu Tsuji of Malaya
http://www.warbirdfo[...]
2007-01-19
[2]
서적
The Generals of World War II
[3]
웹사이트
Ending Hatred and the Start of Healing: President Elpidio Quirino’s Pardon of Japanese War Prisoners in July 1953 and its Effects
https://papers.iafor[...]
The International Academic Forum
2023-04-30
[4]
서적
公職追放に関する覚書該当者名簿
日比谷政経会
194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